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경상식15

우리나라 최초 성탄절 예배는 언제일까? 서론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국 교회의 첫 성탄절 예배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1887년, 미국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한국에 첫 발을 내디딘 해입니다. 이들은 우리나라 최초의 장로교회와 감리교회를 설립하며 한국 개신교 역사의 서막을 열었습니다. 그리고 그 해 12월 25일, 한국 땅에서 처음으로 성탄절 예배가 드려졌습니다. 지금부터 그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 돌아보겠습니다.아펜젤러와 첫 성탄절 예배의 시작1887년 12월 25일, 아펜젤러 선교사는 한국에서 최초로 성탄절 예배를 주관했습니다. 당시 아펜젤러는 베델 감리교회에서 조선인 성도들과 함께 예배를 드렸습니다. 아펜젤러는 성탄절의 기쁨을 나누기 위해 스스로 산타클로스가 되어 가족과 이서식 최 갑질에게 선물을 주었습니.. 2024. 12. 15.
추수감사주일, 그 유래는 무엇일까? 서론추수감사절은 매년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지켜지는 큰 명절로, 많은 이들이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함께 식사하고 즐기는 축제입니다. 하지만 그 시작은 단순한 축제가 아니라, 청교도들이 신앙의 자유를 찾아 신대륙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된 깊은 신앙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수감사절의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며, 우리가 누리는 감사의 순간들을 어떻게 되새길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추수감사절의 유래: 신앙을 찾아 떠난 청교도들의 여정청교도들의 신앙 박해와 신대륙으로의 여정추수감사절의 시작은 1620년, 영국 청교도들이 신앙의 자유를 찾기 위해 대서양을 건너 신대륙에 도착한 데서 비롯됩니다. 영국에서 신앙의 박해를 받았던 청교도들은 처음에는 네덜란드로 피신하여 자유를 누렸으나, 결국 102명의.. 2024. 11. 14.
개신교 7대 교파의 역사와 탄생 배경 개신교 7대 교파의 역사와 탄생 배경개신교의 역사 속에서 일어난 분열과 개혁은 때로는 도전과 반발의 과정이었지만, 결과적으로 기독교 신앙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교파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개신교의 7대 주요 교파가 형성된 과정을 살펴보며, 각 교파가 가지는 신학적 특징과 역사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기독교 교파의 기원을 알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흥미롭게 읽으실 수 있을 겁니다.1. 로마 가톨릭과 정교회의 분열개신교의 시작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마 가톨릭과 정교회의 분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세기 무렵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로 자리 잡았을 때부터 교회는 이미 동서로 나뉘기 시작했어요.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의 갈등: 로마 제국이 동로마와 서로마로 정치적으로 나뉘면서 교회도 자.. 2024. 10. 31.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발달 과정정리 서론이스라엘 역사에서 시작된 유대교, 이후로 이어진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오늘날 세계의 주요 종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세 종교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출발해 각기 다른 역사와 신앙의 길을 걸어왔지만, 서로 연결된 신학적 뿌리와 역사적 배경을 공유합니다. 이 글에서는 유대교에서 기독교와 이슬람교로 이어지는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각 종교의 주요 특징을 비교하며 정리해 보려 합니다.유대교의 탄생과 발달유대교는 약 기원전 2000년경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된 이스라엘 역사와 맞물려 있습니다. 유대교의 종교적 색채는 기원전 586년 바벨론 포로기 이후, 성전 중심에서 율법 중심의 종교로 변화를 겪으며 정립되었습니다. 성전이 파괴되고, 이스라엘이 분열과 포로 생활을 겪으면서 유대인들은 신앙의 중심을 율법으로 두기 시작.. 2024. 10. 29.
한국 교회 역사, 굵직한 사건과 인물로 알아보는 발전 과정 한국 교회의 역사는 수많은 도전과 헌신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많은 중요한 사건과 인물들이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 교회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 과정에서 어떤 인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교회가 어떻게 사회와 국가에 영향을 미쳤는지 짚어보려고 합니다. 오늘 제가 전하는 이야기는 단순히 교회의 역사적 기록을 나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국 기독교가 어떻게 이 땅에 뿌리내리고 성장했는지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1. 한국 교회의 시작: 귀츨라프와 토마스 선교사한국 교회의 첫 번째 시작은 1832년, 프로이센 출신의 선교사 귀츨라프(Gutzlaff)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비록 그는 조선 본토를 밟지는 못했지만, 한문 성경을 전하고 조선 땅에 복음의 씨앗을 뿌린 최초의 인물.. 2024. 10. 24.
모든 이단이 이단이 될 수 있는 이유 (feat. 이만희, 정명석 등등) 이만희가 신천지 교주가 될 수 있었던 진짜 이유이단은 역사적으로 늘 존재해 왔습니다. 신천지와 같은 이단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기존 정통 교회의 약점을 파고들어 성장한 이들이 많았듯, 신천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천지가 이만희를 교주로 만들고 신천지라는 거대한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성경 해석법입니다. 다양한 매체에서 신천지의 규모, 내부 비리, 교리에 대한 이야기가 있지만, 그 핵심은 성경 해석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성경은 비유로 봉인된 책이라는 주장이만희의 교리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성경이 봉인된 책이라는 주장입니다. 그는 성경을 단순히 읽고 외우는 것이 능사가 아니며, 그 내용은 비유로 가득 차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성경을 암호화된 비밀로 해석하여, 일.. 2024. 10.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