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경상식6

모든 이단이 이단이 될 수 있는 이유 (feat. 이만희, 정명석 등등) 이만희가 신천지 교주가 될 수 있었던 진짜 이유이단은 역사적으로 늘 존재해 왔습니다. 신천지와 같은 이단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기존 정통 교회의 약점을 파고들어 성장한 이들이 많았듯, 신천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천지가 이만희를 교주로 만들고 신천지라는 거대한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성경 해석법입니다. 다양한 매체에서 신천지의 규모, 내부 비리, 교리에 대한 이야기가 있지만, 그 핵심은 성경 해석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성경은 비유로 봉인된 책이라는 주장이만희의 교리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성경이 봉인된 책이라는 주장입니다. 그는 성경을 단순히 읽고 외우는 것이 능사가 아니며, 그 내용은 비유로 가득 차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성경을 암호화된 비밀로 해석하여, 일.. 2024. 10. 18.
빌립보에 숨겨진 비밀이 있다고? 가이사랴 빌립보에 숨겨진 비밀과 예수님의 질문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가끔 본문에 등장하는 지명이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그 말씀의 의미가 더 생생해집니다. 가이사랴 빌립보는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라고 물었던 곳으로 유명합니다. 그러나 이 장소가 가진 깊은 상징성과 숨겨진 이야기를 알게 되면, 예수님의 질문이 얼마나 강력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깨닫게 됩니다. 오늘 저는 가이사랴 빌립보에 숨겨진 우상 숭배의 역사와, 그곳에서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던지신 질문의 혁명적 의미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1. 가이사랴 빌립보의 역사적 배경먼저, 가이사랴 빌립보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곳은 원래 ‘파니아스’라고 불리던 도시로, 그리스 신화의 목동 신 '판'을 .. 2024. 10. 15.
예수의 열두 제자들의 최후 그들의 헌신과 희생예수의 열두 제자들은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전 세계로 흩어져 많은 어려움과 고난을 겪었습니다. 그들의 마지막 순간들은 우리의 신앙과 헌신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듭니다. 오늘은 열두 제자들의 순교와 그 의미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1. 야고보와 빌립: 최초의 순교자들열두 제자 중 첫 번째 순교자는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입니다. 그는 주후 54년경 유대 총독으로 임명된 헤롯 아그리파 2세에 의해 칼에 찔려 순교했습니다. 이는 예수님을 따르던 제자들이 마주한 첫 번째 큰 박해 사건이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빌립 또한 터키의 히에라폴리스에서 십자가에 매달려 처형되었습니다. 이들은 복음을 전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쳤으며, 그들의 헌신은 초대 교회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습니다.2. 마태와.. 2024. 7. 26.
[성경상식]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발달 과정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발달 과정: 역사 이야기로 풀어본 세계 종교의 뿌리세계 종교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시작과 변천 과정을 이해하면 오늘날의 종교적 갈등과 교류의 뿌리를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각 종교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역사적 배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합니다.유대교: 바벨론 포로기에서 율법 중심의 종교로유대교의 시작은 약 기원전 586년, 바벨론 포로기에서 비롯됩니다. 이전까지 이스라엘은 성전 중심의 종교 생활을 해왔으나, 바벨론에서 포로 생활을 하며 성전 없이 율법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체계로 바뀌게 됩니다. 이 시기,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멸망한 이유를 율법을 지키지 않아서라고 인식하고, 회당(신화 .. 2024. 7. 24.
[성경상식] 요단강으로 농사 짓지 왜 비와 이슬을 구했을까? 소개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성경 속 이스라엘의 지리적 배경과 그로 인한 농업 형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왜 이스라엘 사람들은 요단강이 흐르는 나라에서 강물을 이용하지 않고, 비와 이슬에 의존해 농사를 지었을까요?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세 가지 기막힌 통찰을 함께 나눠보겠습니다.요단강의 크기와 위치의 한계고대 이스라엘에서 요단강은 매우 중요한 지형 요소였습니다. 성경에 따르면 요단강은 홍해와 같은 대규모의 강으로 묘사되었고, 봄철 우기에는 강이 넘쳐흐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요단강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해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당시 기술로는 강물을 끌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이로 인해, 요단강의 물을 이용한 농업은 사실상 불가능했으며, 비와 이슬에 의존할 .. 2024. 7. 23.
[성경상식]왜 하필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는걸까? 왜 하필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는걸까?천지창조를 설명할 때마다 우리는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 둘째 날..."이라는 표현을 듣습니다. 현대인들에게 하루의 시작은 아침이지만, 왜 성경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저녁으로 잡았을까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그들의 문화적 배경을 탐구해보겠습니다.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스라엘의 연관성우선, 성경의 1차 독자인 이스라엘 사람들이 고대 샘족의 후예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권에서 온 이스라엘 사람들은 저녁부터 하루를 시작하는 문화적 관습을 이어받았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낮 동안 태양빛이 너무 강해 활동이 어려웠기 때문에, 시원한 저녁과 밤에 주로 활동했습니다. 이러한 생활방식은 자연스럽게 저녁을 .. 2024. 7. 22.
반응형